본문 바로가기
여행

🍁 캐나다 입국할 때 면세한도 얼마까지? 실수하면 벌금폭탄!!

by WTFKnowledge 2025. 6. 27.
728x90
반응형

캐나다 공항에서 당황하지 않게! 입국 전 꼭 알아야 할 면세 한도와 꿀팁 정리해드릴게요 🇨🇦

캐나다 국기

공항 입국장 앞에만 서면 긴장되는 그 느낌... 다들 아시죠?!
특히 면세점에서 이것저것 사다 보면, “이거 다 들고 들어가도 되는 건가?” 괜히 걱정되쥬?
캐나다는 유독 면세 규정이 꼼꼼하고, 신고 안 하면 벌금 폭탄 맞을 수 있어서 조심해야 함다!

저도 예전에 선물 사느라 막 샀다가
입국심사 때 직원이 캐리어 다 열자고 해서 심장이 덜컥💦
그때부터는 면세한도 미리미리 체크하고, 기내신고서도 꼼꼼히 작성하게 됐슴다ㅋㅋ

오늘은요~

  • 캐나다 입국 시 면세 허용 범위
  • 담배/술/선물류 제한
  • 초과 시 벌금/세금 관련 정보
    이렇게 딱 필요한 내용만 쉽게 정리해드릴게요!

곧 여행 가시거나, 지인한테 선물 잔뜩 들고 가는 분들
이 글 저장 필수임다아📦✨

🧳 기본 면세 한도 – 7일 이상 체류 시 CAD 800까지 가능!

캐나다 입국 시 가장 기본이 되는 건 체류 기간이에요!
7일 이상 해외에 체류한 경우에는 CAD 800 (한화 약 80만 원)까지 물품을 무관세로 반입 가능합니다.
단, 담배나 주류는 별도 기준이 있기 때문에 이건 또 따로 봐야 해요~
여권상 출국·입국 날짜 기준이기 때문에
출발/도착 시간 헷갈리지 않게 잘 계산해두시는 게 포인트!

🍷 주류 – 성인 1인당 딱 요만큼! 초과 시 과세 무조건!

만 19세 이상 성인은

  • 와인 1.5리터 (보통 와인 2병 정도)
  • 맥주 8.5리터 (보통 캔맥 24개 내외)
  • 증류주 1.14리터 (소주 1.5병쯤?)
    이 범위 안에서는 면세입니다!
    단, 동일 종류로만 한정되기 때문에 와인+위스키 섞어서 들고 가면 안 돼요ㅠㅠ
    그리고 항공편으로 들고 갈 경우, 반드시 수화물에 넣거나, 면세 포장된 상태여야 해요!

🚬 담배 – 세관이 제일 예민한 항목 중 하나!

흡연자분들 주목!!
캐나다는 담배 반입 기준이 정말 타이트해요.

  • 담배 200개비 (1보루)
  • 시가 50개
  • 말린 잎 200g
    까지만 면세로 인정되고,
    이것도 반드시 개인 용도라는 게 전제에요.
    선물용으로 다량 구매했다간… “이건 상업용 같다?”며 벌금 맞을 수도 있어요ㅠㅠ

🎁 선물/전자기기 – 너무 많이 들고가면 바로 신고 대상!

지인 선물 챙겨가시는 분들 많쥬?
그런데 개당 CAD 60 이상되는 선물 여러 개 들고가면, 세관이 예민하게 봅니다!
특히 같은 품목을 여러 개 가져가는 건 무조건 신고대상 가능성 높음.
전자기기(노트북, 태블릿, 게임기 등)도 고가품이니
중고임을 증명하거나, 사용 흔적이 있어야 안 걸려요 ㅋㅋ

💵 초과 반입 시 – “몰랐어요”는 변명이 안 됨!

면세 한도를 초과했다면 반드시 자진 신고하세요!
적발되면 면세 혜택 다 사라지고, 초과 금액의 약 7~15% 세금 + 벌금까지 나올 수 있음ㅠㅠ
게다가 세관 블랙리스트 등록되면
다음 입국 때 무조건 가방 검사 당하니까… 진짜 조심해야 해요!
신고는 공항 입국장 내 세관신고서 작성 또는 전자 신고기에서 가능합니다.

📄 마지막 팁 – 영수증 & 포장 상태로 정리해가세요!

세관에서 “이건 얼마짜리냐?” 물어봤을 때
영수증 없으면 대충 추정해서 과세 때릴 수 있슴다;;
그래서 면세점이나 현지 쇼핑 영수증은 꼭 모아서,
지퍼백이나 봉투에 따로 정리해두시는 걸 추천해요~
특히 면세점에서 구입한 술/담배는
포장 뜯지 말고 원상태로 보관하는 게 제일 안전합니다!

🤔 자주 궁금해하시는 점, 정리해드릴게요!

한국 면세점에서 산 물품도 한도에 포함되나요?
→ 네! 면세점에서 산 거라도 입국 시 면세한도에 포함됩니다.
“면세라서 괜찮겠지~” 하다가 초과되면 과세 대상됨다ㅠㅠ
면세점 영수증도 꼭 챙기세요!

2명이 함께 입국하면 면세한도 합쳐서 쓸 수 있나요?
→ 가족이라도 개인당 따로 적용됩니다.
두 사람이라고 해서 $800 + $800 = $1600 한도 이렇게 쓰는 거 안돼요!
물품도 개인별로 나눠서 관리하셔야 합니당.

입국신고서에서 뭘 체크해야 해요?
→ 물품이 많다면 ‘예’에 체크 후 자진 신고하는 게 좋아요.
걸렸을 때보다 세금 적고, 처벌도 없슴다.
고가 선물, 전자기기, 담배·술 있을 땐 무조건 체크하세용!

✈️ 면세는 혜택이지 권리가 아니라는 말… 이젠 이해됐슴다

캐나다 입국할 때마다
“에이 이 정도쯤이야~” 하고 넘겼던 적 많았는데요,
한 번 걸리고 나니까 그 후로는 짐 쌀 때마다 영수증 챙기고, 가격 메모하고…
세관 눈치 게임 안 하려고 진짜 철저히 준비하게 됐어요ㅋㅋ

조금만 준비하면 걱정 없이, 당당하게 입국 가능하니까
이번 글 보신 분들은 부디 벌금 없이 클린 입국 하시길 바랍니당! 💼🔥
다음에 또 꿀팁 쏠쏠한 여행 준비글로 찾아올게요~!

💬 혹시 캐나다 입국할 때 당황한 경험 있으세용?

세관에서 걸려서 가방 다 열었던 사연이라든가,
실수로 초과 신고 안 했다가 벌금 냈던 이야기 있으시면
댓글로 공유해주세요 ㅎㅎ
다른 분들께도 진짜 큰 도움이 되거든요!

또, “요건 챙기면 좋더라~” 싶은 꿀팁도 같이 나눠주세용!
우리 다 같이 똑똑한 여행자 되보자구요✈️
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