골드? 플래티넘? ATX 인증이 뭔지도 몰랐던 사람 손✋ 지금 알려줄게요!
컴퓨터 본체 새로 짜볼라 하면 머릿속이 꽉꽉 차기 시작하쥬.
CPU, 메인보드, 그래픽카드까지는 그래도 좀 알겠는데... 파워는? 음... 그냥 와트 수 맞추면 되는 거 아냐?! 😅
나도 예전엔 그랬슴미다... 근데 진짜 진짜 중요한 게 파워라구요!! 파워가 애매하거나 규격 안 맞으면, 고생길이 훤히 열리는 거 모름다ㅠㅠ
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선, 파워 효율 등급, ATX 인증, 브랜드 고르는 팁까지! 완전 뽀개서 알려드릴 테니까
새 본체 세팅 앞둔 분들, 지금 집중해보쥬?! 😎
보통은 파워 선택에서 효율만 보고 ‘골드면 되겠지~’ 하는데,
사실은 ATX 인증이나 출력 안정성, 브랜딩까지 진짜 체크해야 할 게 수두룩하거든요.
이번 글에선,
- 골드/플래티넘 파워의 효율 차이
- ATX 3.0 인증이 뭐고 왜 중요한지
- 브론즈 파워는 쓰면 안 되는지
- 와트 수 산정법과 여유 계산 방법
까지!
초보자도 5분이면 감 잡을 수 있게 쫙 정리해드릴게요🙌
1. 파워 효율 등급, 그냥 숫자 높다고 좋은 건 아님!
우리가 흔히 말하는 골드, 플래티넘 이런 거 있쥬?
그게 바로 80 PLUS 인증 등급인데요~
이건 "전기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쓰느냐"를 말하는 인증임다.
- 브론즈 : 82~85%
- 실버 : 85~88%
- 골드 : 87~90%
- 플래티넘 : 89~92%
- 티타늄 : 90~94%
근데 중요한 건 이 수치가 100% 부하 시가 아니라 20~50% 부하 기준이라는 점!
즉, 자기 시스템 소비 전력에 맞는 효율을 뽑아야 실효성이 있음다.
그냥 플래티넘 샀다고 무조건 좋은 게 아니란 거... 실화냐구요?! 😭
2. ATX 인증? 그게 그렇게 중요한 거였음?
요즘 최신 파워 보면 ATX 3.0 인증이냐 아니냐로 나뉘는데요~
이거... 진짜 중요합니다. 특히 RTX 40번대 그래픽카드 쓰는 분들 주목!
ATX 3.0은
- PCIe 5.0 지원
- 12VHPWR 커넥터 대응
- 과부하 대응 능력 강화
이런 걸 포함하고 있어서, 최신 하드웨어와 궁합이 잘 맞아요.
무조건 최신 파워 사는 게 좋은 이유... 여기 있었쥬?! 🤓
3. 그냥 와트수 큰 거 사면 다 되는 거 아냐?
흔히 ‘850W면 뭐든 다 되겠지~’ 하시는 분들 있는데요,
이게 또 함정임다. 와트 수는 시스템 구성에 따라 맞춰야 하고,
과하게 남는 용량은 전력 낭비+소음 유발의 지름길!
예를 들어,
- 일반 사용자는 600~650W
- RTX 4070Ti 이상 쓰면 750~850W
- 4090 간다면 1000W 이상 + ATX 3.0 필수
요렇게 세팅별로 봐야 하거든요~
게다가 정격 출력 기준인지, 최대 출력 기준인지 꼭 확인하셔야 함다! 💡
4. 브랜드도 파워선택에 영향 큽니다!
솔직히 이름도 처음 듣는 브랜드 파워는 좀... 불안하쥬ㅠㅠ
대표적으로 많이 쓰는 브랜드는
시소닉, 커세어, 슈퍼플라워, 에너맥스, 앱코 같은 애들인데요~
- 시소닉 : 안정성, 조용함. 다만 비쌈.
- 커세어 : 디자인+안정성 굿!
- 슈퍼플라워 : 가성비 좋고 요즘 많이 씀!
- 앱코 : 중급 이상에서 꽤 괜찮음!
이왕이면 A/S 잘 되는 국내 정발 제품으로 고르세용~ 😆
5. 파워 선정, 결국은 밸런스 게임임다
효율은 무조건 플래티넘!
용량은 1000W!
브랜드는 무조건 비싼 걸로!
이렇게 가고 싶지만... 현실은 예산이 한정적이쥬 😢
그래서 결국은 내 시스템에 맞는 적당한 효율+용량+브랜드 조합 찾는 게 핵심이에요.
RTX 4060급 이하면 골드도 충분하고,
RTX 4080 이상은 플래티넘에 ATX 3.0 파워는 거의 필수쥬~!
6. 파워 고를 때 놓치기 쉬운 요소들까지 체크!
- 파워 케이블 수 & 길이 : 특히 빅타워 케이스라면 길이 중요!
- 모듈러 여부 : 선 정리 편하려면 모듈러 파워 강추
- 팬 소음 : 저소음 설계 돼 있는지 확인하쥬
- 정격 vs 최대 출력 : 꼭 정격 기준인지 보세용!!
이런 디테일한 부분 놓치면 나중에 조립할 때 멘붕올 수 있음다😨
처음부터 꼼꼼히 체크해서 후회 없는 선택 하쥬~!
이 글 보고도 파워 고민된다고요? 그럼 요점만 쏙쏙 정리!
항목 | 핵심 내용 | 추천 기준 |
---|---|---|
파워 효율 | 80 PLUS 인증 (골드, 플래티넘 등) | 일반 사용자는 골드 이상 |
ATX 인증 | 최신 하드웨어 대응 위한 ATX 3.0 필수 | RTX 40번대 이상은 무조건 |
정격 출력 | 시스템 소비전력 + 20~30% 여유 | RTX 4070 → 750W, 4090 → 1000W 이상 |
브랜드 | 시소닉, 커세어, 슈플 등 안정성 검증된 브랜드 | 정발 제품 + AS 고려 |
추가 요소 | 모듈러, 팬 소음, 케이블 길이, 안정성 | 케이스 크기와 호환도 체크 |
💡 파워 선택, 그냥 와트 수만 보고 고르면 안 된다는 거…
이제는 다들 아셨겠쥬?ㅎㅎ
처음엔 귀찮고 어렵지만, 제대로 알고 고르면
나중에 본체 안정성도 올라가고
! 조립도 쉬워지고
!
진짜 컴터 쓰는 맛이 달라짐다! 😎
이 글 보신 분들 중에 "나 요즘 본체 맞출 생각 중!" 하셨던 분들~
혹시 어떤 파워가 좋을지 여전히 헷갈리신가요?
아니면 ATX 3.0 지원 파워 추천해드릴까요?ㅎㅎ
댓글로 알려주시면, 같이 고민해드릴게요! 😆
'컴퓨터 본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🎮 RTX 5000 시리즈 슈퍼 버전 루머 총정리 – 진짜 나올까? (3) | 2025.08.01 |
---|---|
🔥 AMD 9800X3D vs 9900X3D vs 9950X3D – 세 가지 X3D, 어떤 게 실 사용용일까? (5) | 2025.07.31 |
2025년 가성비 CPU 추천 총정리 – 10만원 초반대부터 게이밍까지! (0) | 2025.06.20 |
9800X3D vs 9900X3D vs 9950X3D 용도별 가성비 비교! | 라이젠 9000X3D 시리즈 구매 가이드 (3) | 2025.06.19 |
"렌더링 시간 단 1초컷" | 작업용 다코어 하이엔드 CPU 추천 (2025년 기준) (3) | 2025.06.15 |